| 
 | 
				 
				
					
						
						
							
																| 
									
									
									
								 | 
								
								
																	
									
								
 
            
            
                | 
             
            
               | 
             
            
              
                   
                  ( * 일자는 음력 입니다.)
                | 
             
            
              
              	
                
                  
                    | 1893.11.15 | 
                    고부농민, 군수 조병갑에게 수세감면 호소 | 
                   
                  
                    | 1894.01.10 | 
                    동학농민혁명의 시작, 고부농민봉기 발발 | 
                   
                  
                    | 1894.03.20 | 
                    동학 농민군, 무장, 태인 등지에서 재봉기 | 
                   
                  
                    | 1894.03.25 | 
                    백산에 호남창의대장소 설치(동학농민군 8천여명)- 총대장 전봉준, 총관령 손화중·김개남 추대- 격문(檄文)과 4대 명의(名義), 12개조 기율 선포  | 
                   
                  
                    | 1894.04.07  | 
                    황토현에서 전라감영군 격파 후 정읍 관아 점령* 양호초토사 홍계훈의 경군(京軍) 전주성 입성  | 
                   
                  
                    | 1894.04.08 ~ 16 | 
                    전라도 서남해안(흥덕·무장·영광·함평) 점령 | 
                   
                  
                    | 1894.04.23 | 
                    장성 황룡촌에서 경군과 1차 접전, 격파 | 
                   
                  
                    | 1894.04.27 | 
                    호남의 수부(首府) 전주성 점령 | 
                   
                  
                    | 1894.05.01 ~ 03 | 
                    전주성에서 경군과 2차·3차 접전, 격파 | 
                   
                  
                    | 1894.05.04 | 
                    청국군(淸國軍) 아산만 상륙 | 
                   
                  
                    | 1894.05.06 | 
                    일본군 인천항 상륙 | 
                   
                  
                    | 1894.05.07 | 
                    동학농민군, 정부화 전주 화약(和約) 체결- 폐정개혁안 수락 및 농민군 해산 합의  | 
                   
                  
                    | 1894.06.21 | 
                    일본군 조선 경복궁 침입 | 
                   
                  
                    | 1894.06.27 | 
                    청국군과 일본군, 성환에서 교전 | 
                   
                  
                    | 1894.07.01 | 
                    일본군, 청·일전쟁 선전 포고 | 
                   
                  
                    | 1894.07.06 | 
                    전봉준과 순변사 김학진 간에 전주회담 개최- 전라도 군·현 집강소 전면적 설치- 전주성내 전라좌우도 대도소 설치  | 
                   
                  
                    | 1894.07.26 | 
                    조·일공수동맹조약(朝·日攻守同盟條約) 체결 | 
                   
                  
                    | 1894.06월말~08월말 | 
                    전라·경상·충청도 각지 봉기 | 
                   
                  
                    | 1894.08.17 | 
                    일본군, 청(2만여명)·일(1만여명)간 평양전투 승리 | 
                   
                  
                    | 1894.09.07 | 
                    김개남, 대원군의 밀지 접수 | 
                   
                  
                    | 1894.09.08 | 
                    남접 농민군 지도자 전봉준·김개남, 금구 원평에서 남접 농민군 2차 기포결정과 삼례 집결 통문 | 
                   
                  
                    | 1894.09.18 | 
                    동학교주 최시형(68세) 무력봉기 선언 | 
                   
                  
                    | 1894.09월초~11월초 | 
                    경기·강원·충청·경상·황해도 일대에서 농민군과 경군·일본 연합군과 전투 | 
                   
                  
                    | 1893.10.09 ~ 15 | 
                    일본군 진압대대 인천항 상륙, 충청.전라.경상도로 진격 | 
                   
                  
                    | 1893.10.12 | 
                    전봉준 휘하의 남접 농민군, 삼례에서 논산 도착 | 
                   
                  
                    | 1893.10.15 | 
                    손병희 휘하의 북접 농민군, 논산 도착, 합류 | 
                   
                  
                    | 1893.10.21 | 
                    남·북접 농민군이 연합, 논산에서 공주로 진격 | 
                   
                  
                    | 1894.11.08 | 
                    공주 우금치로 남·북접 농민군과 경군·일본군 집결 | 
                   
                  
                    | 1894.11.09 | 
                    우금치 전투에서 남·북접 농민군(2만여명) 패퇴 | 
                   
                  
                    | 1894.11.11 | 
                    곰티에서 경군의 기습공격으로 노성으로 후퇴 | 
                   
                  
                    | 1894.11.13 | 
                    김개남 농민군(5천여명), 청주 공격 실패후 공주로 패퇴 | 
                   
                  
                    | 1894.11.14 ~ 19 | 
                    남·북접 농민군, 노성·논산서 일본군과 접전후 강경(김개남 합류)을 지나 전주로 패퇴 | 
                   
                  
                    | 1894.11.23 | 
                    경군·일본 연합군 전주성 장악  | 
                   
                  
                    | 1894.11.25 ~ 27 | 
                    원평·태인 전투 패배로 전봉준 휘하의 농민군 해산 | 
                   
                  
                    | 1894.12.01 | 
                    손화중·최경선 휘하의 농민군 나주성 포위 후 해산최경선(36세), 화순에서 체포 | 
                   
                  
                    | 1894.12.02 | 
                    전봉준(41세), 순창 피노리에서 체포(12.18 한양 도착) | 
                   
                  
                    | 1894.12.03 | 
                    김개남(42세), 태인에서 체포, 전주에서 효수 처형 | 
                   
                  
                    | 1894.12.11 | 
                    손화중(34세), 부안에서 체포 | 
                   
                  
                    | 1894.12.24 | 
                    북접 농민군, 충주 무극에서 경군에 패퇴(손병희 홍천 피난) | 
                   
                  
                    | 1895.01.01 | 
                    김덕명(51세), 원평에서 체포 | 
                   
                  
                    | 1895.02.09 ~ 3.10 | 
                    전봉준, 일본 영사로 부터 5회 심문 | 
                   
                  
                    | 1895.03.30  | 
                    전봉준·손화중·김덕명·최경선 등 교수형 처형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