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이 세상에 살아나가는 데 가장 귀중한 것은 그 인륜(人倫)이 있기 때문이다. 그 중에서도 군신(君臣)과 부자(父子)는 인륜 중에서도 가장 큰 것이다.
임금이 어질고 신하가 곧으며, 아비가 사랑하고 자식이 효도한 뒤에라야만 비로소 집과 나라를 이루어 능히 끝이 없는 복을 누리게 되는 것이다.
지금 우리 성상(聖上)께서는 어질고 효성스럽고 자상하고 사랑하시며, 정신이 밝고 총명하고 지혜가 있으시니, 만일 현량(賢良)하고 정직한 신하가 있어서 보좌하여 정치를 돕는다면, 요순(堯舜)의 교화(敎化)와 문경(文景)의 정치를 해를 보는 것처럼 바랄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지금의 신하된 자들은 나라에 보답할 것은 생각지 않고 한갓 봉록과 지위만을 도둑질해 차지하고 성상의 총명을 가리우고 갖은 아첨과 아양을 부려, 충성되게 간하는 선비를 가리켜 요망한 말이라 하고 정직한 사람을 비도(匪徒)라고 하여, 안으로는 나라를 돕는 인재가 없고 밖으로는 백성에게 사납게 구는 관리만이 많아서, 인민들의 마음이 날로 더욱 변해 가고 있다.
집에 들어가서는 삶을 즐길 만한 생업이 없고, 나가서는 몸뚱이를 보호할 방책이 없다. 사나운 정치가 날로 번져서 원망하는 소리가 서로 이어지고 있다. 군신의 의리와 부자의 윤리와 상하의 분별이 드디어 다 무너지고 하나도 남지 않았다.
관자(管子)가 말하기를 "사유(四維), 즉 예의염치(禮義廉恥)가 퍼지지 못하면 나라가 멸망하고 만다"고 했는데 지금의 형세는 옛날보다도 더 심한 바가 있다.
공경(公卿)이하로 방백(方伯), 수령(守令)에 이르기까지 국가의 위태로운 것을 생각지 않고 한갓 제 몸을 살찌우고 제 집을 윤택하게 하는 데에만 급급하여, 사람을 뽑아 쓰는 곳을 재물이 생기는 길로 여기고, 과거 보는 곳을 돈 주고 바꾸는 저자(市)로 만들고 있다.
그러나 허다하게 생기는 뇌물은 나라의 창고로는 들어가지 않고 도리어 사삿집에 가득 채워진다. 나라에 쌓이고 쌓인 채무가 있는데도 이것을 갚을 생각은 하지 않고 교만하고 사치하고 음란하게 놀아 하나도 두려워하거나 꺼려하지 않는다.
온 나라가 어육(魚肉)이 되고 만민이 도탄에 빠졌으니, 수재(守宰)들이 재물을 탐하고 사납게 구는 것이 까닭이 있는 것이니, 어찌 백성이 궁하고 또 곤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백성은 나라의 근본인데 근본이 깎이면 나라가 쇠잔해지는 것이다.
그런데 나라를 보존하고 백성을 편안케 할 방책은 생각하지 않고 밖으로 시골집을 건축하여 오직 혼자만 온전하려고 방책에 힘쓰면서 한갓 녹봉과 지위만 도둑질하고 있으니 어찌 이것이 옳은 이치이겠는가.
우리들은 비록 초야에 버려진 백성이지만, 임금의 토지에서 나는 곡식을 먹고, 임금의 옷을 입고 살고 있으니, 앉아서 위태로워 망하는 것을 볼 수가 없어, 온 나라가 마음을 같이 하고 억조창생(億兆蒼生)이 의논을 모아 이제 의기(義氣)를 들어, 나라를 보존하고 백성을 편안히 하는 것으로 죽고 사는 맹세를 하는 바이니, 오늘의 광경은 비록 놀라운 일이나 절대로 두려워하거나 움직이지 말고 각각 그 생업에 편안하여 다 함께 승평(昇平 )한 일월(日月)을 빌고, 모두다 성상의 덕화(德化)를 바랐으면 천만 다행이겠노라.
※ 무장창의문은 무장에서 1차 봉기시 선포(1894. 3. 20)
|